본문 바로가기
떠나요, 벼라별 여행!

2025 목재문화페스티벌 체험 총정리

by IssueBora 2025. 6. 10.
반응형

2025 목재문화페스티벌이 6월 14(토)~15일(일) 서울 보라매공원에서 열려요. 서울시가 산림청과 손잡고 국산 목재에 대한 올바른 이용과 목재의 우수성을 알리기 위해 개최하는 거예요. 2025 목재문화페스티벌은 전 국민이 목재의 친환경성과 탄소중립 효과를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체험형 문화행사예요.

 

목차
1. 2025 목재문화페스티벌 일정과 장소
2. 목재문화페스티벌 주요 프로그램 소개
3. 목재문화페스티벌 사전 신청 및 입장 안내
4. 2025 목재문화페스티벌의 친환경 메시지
맺음말

 

2025 목재문화페스티벌
2025 목재문화페스티벌, 포스터
2025 목재문화페스티벌 포스터. 출처: 서울시 6월 10일 보도자료.

   1. 2025 목재문화페스티벌 일정과 장소 

2025 목재문화페스티벌2025년 6월 14일(토)부터 6월 15일(일)까지 이틀 동안 서울 보라매공원에서 열려요. 14일 토요일에는 오전 11시~오후 6시, 15일 일요일에는 오전 11시~오후 4시 30분이 운영시간이에요.

이번에 서울에서 열리기 된 것은 올 1월 2025년 산림청 목재문화페스티벌 대상지 공모 신청 결과 서울시가 최종 대상지로 선정되었기 때문이에요. 서울시는 국내 최대 목재 문화 행사 유치를 통해 서울시 목재문화지수 향상에 기여함은 물론 전국에서 목공 관련 단체, 기업, 시민 등이 서울시에 방문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어요. 

목재문화지수 : 지역의 목재생산부터 목조건축, 목재문화 체험에 이르기까지 목재이용 수준을 측정해 숫자로 표시하는 법정 지표

목재문화페스티벌 행사 일정표

시 간 1일차(2025.6.14.) 시 간 2일차(2025.6.15.)
11:00~ 체험 부스 오픈
(부대 이벤트 및 운영사무국)
11:00~ 체험 부스 오픈
(부대 이벤트 및 운영사무국)
12:00~12:30 그루런게임대회 1 12:00~12:30 그루런게임대회 2
13:00~13:30 식전공연 11:30~13:30 아빠의 밥상
13:30~14:00 개막식 13:30~14:00 축하공연
14:00~15:30 뚝딱뚝딱 나무왕선발대회 14:00~16:30 목소리 토크쇼
15:00~15:30 모객공연  
15:30~16:30 목혼식 *목공체험부스 운영
·(내용) DIY 목공체험
·(종류) 목공프로그램 22
·(운영) 서울특별시, 목재문화진흥회,
전국 주요 목공방
16:30~18:00 도전! 목재 골든벨
18:00~18:30 축하공연

출처: 서울시 6월 10일 보도자료.

2025 목재문화페스티벌, 우드 LIKE 가든, 행사 포스터
2025 목재문화페스티벌 우드 LIKE 가든의 행사 포스터. 출처: 서울시 6월 10일 보도자료.

 

   2. 목재문화페스티벌 주요 프로그램 소개 

‘우드 LIKE 가든’이라는 주제로 서울국제정원박람회장(보라매공원 중앙잔디광장)에서 열리는데요. 이번 행사는 나무화분을 만들고 내 손으로 꾸미는 가드닝 체험도 준비되어 있어 목재와 정원이 어우러진 특별한 시간을 경험할 수 있어요.

메인 프로그램은 아래와 같아요.

뚝딱뚝딱 나무왕 선발대회

614일 진행되는 나무왕 선발대회는 정해진 시간 안에 국산목재를 잘라보고 못을 박아보며 최종 나무왕을 뽑는 현장 참여 프로그램이에요.

목혼식

같은 날 진행되는 ‘목혼식’은 결혼 5주년을 기념해 부부가 목재로 된 선물을 주고받는 서양 풍습에서 유래한 리마인드 웨딩 행사로 이날 5쌍의 부부가 참석할 예정이에요.

아빠의 밥상

15일 진행되는 아빠의 밥상은 국산 임산물과 국산목재 조리도구에 아빠의 손맛이 더해져 완성되는 특별한 요리 경연대회예요. 이날 특별히 인기 요리사 이원일 셰프가 사회를 볼 예정이에요.

목소리 토크쇼

같은날 진행되는 목소리 토크쇼는 목재제품을 함께 만들며 나누는 목재 이야기 토크쇼예요. 시민들이 목재에 대해 알아가며 목재와 좀 더 친근해질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운영하는 프로그램이에요.

도전 목재골든벨

 

체험부스 운영

서울시 목재문화체험장 운영기관과 산림청에서 준비한 인기 목공체험 22종을 시민 3,000여 명을 대상으로 운영할 예정이에요. 소반, 원형의자, 목재조명, 우드버닝 컵받침 만들기부터 비교적 체험방법이 간단해 목재를 처음 접하는 아이들도 쉽게 참여해 볼 수 있는 3구 필통, 씽씽 미니자동차, 동물 도어벨 만들기 체험 등도 준비되어 있어요.

특히 ‘우드 LIKE 가든’이라는 주제로 서울국제정원박람회장에서 진행하는 목재 행사인 만큼 목공과 가드닝을 결합한 특별한 체험 프로그램도 함께 선보일 계획이에요.

서울시 프로그램

자치구명 프로그램 내용 규격(mm)
<가로*세로*높이(두께)>
탄소머니
중 랑 구 우드 LIKE 가든 120*107*12 100g
양 천 구 통나무와 다육이 85~100*100 100g
도 봉 구 원형의자 만들기 260*450 70g
동대문구 강아지 조명 만들기 400*300*150 70g
강 서 구 전통소반 만들기 290*290*240 50g
구 로 구 우드버닝 컵받침 만들기 150*150*20 50g
노 원 구 다육화분 받침대 만들기 310*100*75 50g
은 평 구 정원 오브제 토끼 만들기 150*150*30 50g
강 동 구 3구 필통 만들기 200*200*160 30g
서대문구 씽씽 미니자동차 만들기 170*50 30g
서울대공원 동물 도어벨 만들기 50*50*80 30g

출처: 서울시 6월 10일 보도자료.

산림청 프로그램

기 관 명 프로그램 내용 규격(mm)
<가로*세로*높이(두께)>
탄소머니
그루터기 키친타올 만들기 150*250 30g
나무향기 힐링목각인형 만들기 120*40*150 50g
다호디자인 우든펜 만들기 145(10~15) 70g
리무드목공방 행잉화병 만들기 110*150*30 50g
바우하우스 조립식 미니어처 만들기 65*30*165 50g
앞산목공방 액막이 명태 만들기 200*290 50g
우드너목공방 나무반지 만들기 30*30*5 100g
우드락공작소 수생식물 화분만들기 110*80*140 30g
잇다스페이스 컵받침 만들기 200*125 100g
헤펠레목공방 폰 거치대 만들기 130*90*230 70g
나무놀이터 김병만의 나무놀이터 - 자유롭게
이용가능

출처: 서울시 6월 10일 보도자료.

 

목재문화페스티벌&amp;#44; 나무왕 선발대회목재문화페스티벌&amp;#44; 목혼식목재문화페스티벌&amp;#44; 도전 목재 골든벨
목재문화페스티벌&amp;#44; 아빠의 밥상목재문화페스티벌&amp;#44; 목소리 토크쇼
목재문화페스티벌에서는 나무왕 선발대회, 목혼식, 아빠의 밥상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어요. 출처: 서울시 6월 10일 보도자료.

 

   3. 목재문화페스티벌 사전 신청 및 입장 안내 

2025 목재문화페스티벌은 가족 단위 방문객, 특히 어린 자녀를 둔 부모님들에게 추천해 드리고 싶어요. 다양한 목재 체험을 통해 아이들이 직접 만지고 느끼며 목재의 따뜻함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요. 전시관 곳곳에는 쉼터 공간도 마련되어 있어 가족 방문에 매우 적합한 행사예요.

행사장 입장은 별도의 사전 신청 없이 가능하지만, 일부 프로그램은 현장 접수를 통해 선착순으로 참여가 제한될 수 있어요. 특히, 목재 체험 키트가 제공되는 체험형 부스는 조기 마감될 수 있으므로 오전 중 방문하는 것을 권장드려요. 

목재문화페스티벌의 목공체험 프로그램은 탄소머니를 이용하여 참여 가능해요. 탄소머니는 기획 프로그램 사전 참가 신청이나 현장 미션 등을 수행할 경우 수령할 수 있어요. 목공체험 프로그램 22종은 각 프로그램별 탄소머니 사용량이 차등하게 책정되어 있는데요. 이용 가능한 체험과 시간대 확인 후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돼요. 

  • (사전신청) 목혼식, 아빠의 밥상, 목소리 토크쇼, 도전 골든벨 사전 신청자에게 탄소머니 100g 제공
  • (현장참여) 포토존에서 사진 촬영 후 카톡 프로필 사진으로 등록하거나 개인 SNS에 홍보할 경우 탄소머니 30~50g 제공

 

   4. 2025 목재문화페스티벌의 친환경 메시지 

2025 목재문화페스티벌은 단순한 체험 행사가 아니라, 탄소중립 시대에 맞는 목재 활용의 중요성과 환경 보전 메시지를 함께 전달하는 공공 캠페인이기도 해요. 국산 목재의 우수성과 탄소저장 능력을 시민들이 이해하고 직접 느낄 수 있도록 유도하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돼요. 특히 목재 기반 건축, 가구, 제품 등에 대한 전시와 설명이 친환경 소비문화 확산에 기여하고 있어요.

 

   맺음말 

마무리하며

2025 목재문화페스티벌은 나무의 가치를 직접 보고 듣고 체험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에요. 바쁜 일상 속에서 자연의 따뜻함을 느끼고 싶다면, 이 축제가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아이들과 함께, 또는 일상에 쉼표가 필요한 누구에게나 추천하고 싶은 목재문화 축제예요. 올해 여름, 나무와 사람이 함께 어우러지는 현장에 직접 참여해 보는 건 어떨까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